티스토리 뷰

반응형

판 위에서 하는 두뇌싸움인 바둑이나 장기처럼 사고력을 필요로 하면서도 땅에서 하던 민속놀이가 있다. 고누놀이라고 하는데 바둑이나 장기처럼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고 방법이 간단해 어린아이들이 주로 즐겼다고 한다. 땅에서 두는 바둑이라는 의미로 지기라고도 불렸으며 지방에 따라서는 꼬누, 고니, 꼬니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고누놀이는 두 사람이서 하는 놀이로 바닥에 놀이판을 그려놓은 후 각자의 말을 움직여 상대방의 말을 잡거나 움직이지 못하도록 가두는 놀이 방식이다. 너무 추운 겨울을 제외하고는 수시로 바깥에서 많이 행해졌다. 여름철에는 시원한 나무 그늘 아래에서 아이들은 물론 잠시 일손을 쉬고 있던 어른들까지 가볍게 즐기기도 했다. 김홍도의 풍속화 속에도 나무꾼 소년들이 고누놀이를 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던 것으로 보아 역사가 꽤 오래된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제주도까지 전파될 정도로 워낙 전국적이고 대중적인 놀이였던지라 양반 등의 상류층이 이 놀이를 즐겼다는 문헌의 기록은 찾기 어렵다고 한다. 

 

고누놀이, 어떻게 노는 것일까?

기본원리는 이렇다. 밖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돌을 활용해도 좋고 동전, 작은 나무토막, 조약돌 등을 활용해 말로 삼는다. 땅바다에 고누판을 새긴 후 머리를 써서 상대방의 말을 잡거나 포위하면 된다. 

 

참고누

꽂을 고누, 짤고누, 곤질고누라고도 불렸던 참고누는 다른 고누놀이보다 규칙이 복잡하다. 각자 12개의 말을 갖고 시작하는데, 고누판 위에 말 3개가 일직선이나 사선이 되도록 놓는다. 3개의 말이 한 줄이 되면 꼰이, 고니, 곤이라고 하여 상대방의 말을 한 개 잡아들일 수 있다. 상대방의 말을 잡을 때는 상대방이 곤을 만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골라서 뺀다. 각자 가지고 있던 12개의 말 중 2개만 남게 되면 놀이는 끝나게 된다.

 

호박고누

말을 3개 또는 4개씩 쓴다. 한 번에 말 한 개가 한 칸씩만 움직일 수 있으며 길이 길이 막혀 더 이상 움직일 공간이 없어지면 지게 되는 놀이다. 통상 한번 앞으로 말이 나오면 다시 후퇴할 수 없으며 앞 또는 옆쪽으로만 나간다. 호박고누는 돼지고누라고도 한다.

 

우물고누

고누놀이 중 가장 순하면서도 단순하다. 샘고누 또는 강고누라고도 불린다. 놀이를 시작하기 전, 고누판에 우물이라는 장애물을 정해놓고 말은 각자 2개씩 갖고 시작한다. 말들이 갈 수 없는 '우물'이라는 장애물을 정해놓는데 상대편 말의 길을 막아 꼼짝 못 하게 하면 이기는 방식이다.

 

줄고누

가로 네 줄, 세로 네 줄의 고누판 위에 각자 말 4개 또는 6개를 직선 방향으로 놓은 후 서로 한 칸씩 진행하는 네줄고누가 대표적이다. 상대방의 말을 많이 없애는 쪽이 이기는 놀이로 네줄고누 외에도 다섯 줄, 여섯 줄, 아홉 줄 고누도 동일한 방식이다. 

 

자동차고누

4줄의 고누판 위에 각자 4개의 말을 사용하며 한 칸씩 나아간다. 네 모퉁이의 한 둥근 바퀴를 돌아선 후 첫 번째로 부딪치는 말을 잡는 방식인데 말을 잡게 되면 칸 수에 상관없이 곧바로 달려 나간다. 바퀴를 돌 때에는 돌고 있는 말의 앞길에 가로막고 있는 본인의 말이 없어야 한다. 

 

 

고사리꺾기는 무슨 놀이일까?

제주도에 가서 도로를 달리다 보면 도로 주변에서 한창 고사리를 꺾으러 다니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렇게 고사리를 꺾는 모습을 본뜬 놀이가 있는 게 그것이 바로 고사리꺾기 놀이다. 강강술래처럼 서로 손을 잡은 뒤 둥글에 앉았다가 일종의 술레(또는 선두)가 일어나 나머지 사람들의 팔 위를 넘어가면 차례대로 손을 놓으면서 원무를 진행시킨다. 여기서 꿇어앉은 모습이 고사리를 꺾는 행위를 묘사한 것이고 팔 위를 넘어가는 동작이 고사리를 하나씩 꺾어가는 동작을 흉내 낸 것이다. 팔 위를 넘어가면서 실수한 척 옆 사람을 건드리기도 한다. 고사리꺾기라는 놀이요도 있는데 산에서 나물을 캘 때 고사리꺾기라는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가사 중에 '고사리 껑자'라는 부분이 있는데 꺾자를 뜻하는 사투리이다. 여흥놀이로 노는 가무놀이의 일종으로 보는데 유사한 이름으로 고사리 따기, 고사리껑기, 고사리껑자, 고사리꺾자, 달 넘기, 달 넘는 놀이 등이 있다.

 

 

강강술래에 대하여

너무나 잘 알려져 있는 강강술래. 초저녁 즈음 달이 뜨기 시작할 때 시작해 달이 기울 때까지 놀 정도로 흥겹고 역동적인 놀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절기인 설과 대보름, 단오, 백중, 추석 및 9월 중구 밤에 강강술래를 하였고 특히 8월 추석날 밤에는 대대적으로 강강술래 판이 펼쳐졌다. 노래와 무용이 혼합된 부녀자들의 민속놀이로 손에 손을 맞잡고 둥글에 원을 그리면서 돌고 노래도 같이 부른다.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및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목청이 크거나 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이 먼저 선창을 하면 나머지 사람들이 뒷소리를 이어받아 노래를 부른다. 강강술래를 하면 밤새 했었는데 이는 젊은 여성들이 한가위 날을 제외하고는 밤에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외출 자체가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즉 강강술래를 통해 단 하루라도 밤에 마음껏 놀며 해방감을 느낄 수 있었던 것이다. 밤새 하는 놀이다 보니 선창자는 한 명만 하지는 않고 서로 교체하며 다양하게 놀았다고 전해진다.

강강술래가 정확히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기 어려우나 이순신 장군이 왜군을 속이기 위해 임진왜란 때 강강술래를 이용하기도 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병사들의 숫자가 많다고 보여주기 위한 계책의 일환으로 밤에 모닥불을 피워둔 후 여자들을 모아 강강술래를 하도록 했다. 멀리서 지켜보던 왜군은 깜박거리는 그림자들 때문에 이순신 장군의 병력을 실제보다 과대하게 평가하였고 결국 승리할 수 있었다.

강강술래는 노래의 빠르기에 따라 간강강술래, 중강강술래, 잦은강강술래로 구분되며 이 속도에 따라 강강술래를 하는 여성들의 발놀림의 빠르기도 달라지게 된다. 춤이 진행되는 동안 막간에 어촌이나 농촌 생활을 표현한 놀이도 더했는데 수건 돌리기, 문지기놀이, 가마등, 덕석몰이, 청어 엮기, 기와 밝기, 쥔쥐새끼놀이, 고사리 따기, 남생이 놀이등을 했다. 

 

 

가락지 찾기 놀이, 골패 놀이, 공물 바치기 놀이 등 또 다른 한국의 전통놀이 ↓

https://aging-gracefully.tistory.com/31

 

한국의 전통놀이

의, 식, 주 생존과 관련된 활동이나 일을 떠나 즐거움을 느끼며 여러 사람들과 이해관계없이 즐기는 활동을 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놀이는 옛 시대부터 다양하게 존재해 왔었다. 한국의 전

aging-gracefull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