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식, 주 생존과 관련된 활동이나 일을 떠나 즐거움을 느끼며 여러 사람들과 이해관계없이 즐기는 활동을 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놀이는 옛 시대부터 다양하게 존재해 왔었다. 한국의 전통놀이 종류 가락지 찾기 놀이 여러 명의 여성 또는 아이들이 가락지를 숨기고 찾아내며 노는 여자들의 놀이가 있었는데 이를 가락지 찾기 놀이라고 한다. 강원도나 이북지방의 겨울철 또는 정월 등에 방 안에서 하던 전통 놀이였다. 여러 명의 여자들이 방 안에 빙 둘러앉은 후 가위바위보를 하여 술래를 먼저 정한다. 보통 7~8명의 여자들로 구성된다. 가위바위보로 진 사람이 술래로 당첨되어 범 또는 고양이라고 칭해진다. 이 술래는 원 안으로 들어가 앉게 되는데 눈을 가리거나 감고 있어야 한다. 술래는 원 안에 앉아있고 이를 중..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에서 '놀이'라고 검색해 보면 약 1,458개의 놀이에 관련된 항목들이 검색된다. 그만큼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전통 민속놀이들이 있었고, 일부는 현재까지도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중에서도 복을 빌고, 액운이나 잡귀를 쫓기 위한 목적으로 행해지던 민속놀이들이 다양하게 있었다. 잡귀를 쫓고 액운을 빌던 민속놀이 거북놀이 : 주로 강원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경기도 지역에 분포되어 있던 우리나라 전통 민속놀이 중 하나이다. 추석날 마을사람들 모두 함께 즐기며 각 가정의 복을 함께 빌어준다. 무병장수의 상징인 거북이처럼 마을사람들의 건강과 장수를 빌고 마을에 있는 잡귀를 쫓기 위해 생겨난 놀이로 보고 있다. 옥수숫대를 벗겨 거북의 모양을 만든 후 앞에 한 사람, 뒤에 한 사람씩 짝을 지어..
우리나라는 예부터 1년을 24개의 절기로 나누는 풍습이 있었다. 음력 11월에 들어서는 동지를 기준으로 소한, 대한,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의 순서로 24 절기가 구성된다. 이 중 동지는 작은설이라고 불리며 크게 축하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민간에서는 설날 떡국을 먹고 한 살 더 나이를 먹는 것처럼 동짓날 팥죽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 것이라고 하기도 했다. 과학적으로는 동지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로 태양의 황경이 270도 위치에 있을 때가 그렇다. 24 절기 중에서는 대한과 소한 사이에 있고 대략 양력으로 12월 22일 경이라 음력으로 항상 11월에 들어있다...
김은희 작가와 배우 김태리의 드라마 악귀에서 1,2화 연속 나오는 소품이 있다. 귀신 들린 물건인 붉은 댕기가 그것이다. 댕기는 고구려고분벽화에서도 끈으로 장식한 모습이 나올 정도로 역사가 오래되었는데 길에 땋은 머리카락 끝에 장식용으로 묶는 헝겊이나 끈을 뜻한다. 댕기는 길흉사 및 본인의 신분에 따라 재료 및 색을 다르게 사용했으며 댕기에 새겨진 문양에 따라서도 여러 가지 상징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댕기의 역사 댕기는 고구려 및 백제와 신라 삼국에도 모두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구려고분벽화에 끈으로 장식한 모습도 남아있다. 몽고의 영향을 받게 되는 고려 후기에는 개체변발이 일반화되면서 댕기가 필수품이 되었다. 변발이란 머리카락을 길에 땋아 늘어뜨린 머리 모양을 뜻한다. 유목민족 사이에서..